삿18:1-10
사사시대에 이스라엘에는 왕이 없었는데요. 본문을 보면 단 지파는 거주할 땅을 찾고 있습니다.
1= “그 때에 이스라엘에 왕이 없었고, 단 지파는 이때에 거할 기업의 땅을 구하는 중이었으니 이는 그들이 이스라엘 지파 중에서 이때까지 기업의 땅 분배함을 얻지 못하였음이라.”
단 지파는 여호수아 때 거주할 땅을 분배 받았죠. 그러나 분배받은 땅에서 원주민인 아모리 족속에 의해 쫓겨나 다른 지파의 땅에 분산해서 거주하거나 새로운 거주지를 찾아야 하는 신세가 된 것입니다. 본문에 보면 거주지를 찾아 5명의 정탐꾼을 라이스로 보냈습니다. 그리고 그곳을 치기로 하죠.
9= “가로되 일어나서 그들을 치러 올라가자. 우리가 그 땅을 본즉 매우 좋더라. 너희는 가만히 있느냐 나아가서 그 땅 얻기를 게을리 말라.”
10= “너희가 가면 평안한 백성을 만날 것이요, 그 땅은 넓고 그곳에는 세상에 있는 것이 하나도 부족함이 없느니라. 하나님이 너희 손에 붙이셨느니라.”
여기에 보면 하나님께서 가나안을 이스라엘에게 주셨던 것처럼 라이스 땅을 자신들에게 주신 것처럼 말하는데요. 이것은 단 지파의 욕심에서 나온 말이죠. 자신들이 분배받은 땅을 지키지 못하고 이곳을 탐내어 일으킨 전쟁이었습니다.
간혹 세상의 정욕을 따라 살면서도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죠. 그러나 그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서라면 바르게 살아야죠. 바르게 살지 못하면서 그런 식으로 자기합리화를 하면 안 되죠.
본장에서 단 지파의 잘못이 무엇일까요?
1> 분배받은 기업을 차지하지 못하였습니다.
아모리 족속에게 밀려서 받은 땅을 정복하지 못하고, 엉뚱한 곳을 기웃거리죠. 떠돌이생활을 합니다.
2> 하나님께 묻지 않고 마음대로 행하였습니다.
5명의 정탐꾼을 보내는데요. 먼저 하나님께 물어보았어야죠. 그런데 사람에게 물어봅니다.
3= “누가 너를 이리로 인도하였으며 네가 여기서 무엇을 하며 여기서 무엇을 얻었느냐”
5= “그들이 그에게 이르되 청컨대 우리를 위하여 하나님께 물어보아서 우리의 행하는 길이 형통할는지 우리에게 알게 하라.”
6= “그 제사장이 그들에게 이르되 평안히 가라. 너희의 행하는 길은 여호와 앞에 있느니라.”
여기 레위소년은 제사장이 아니죠. 미가라는 사람이 제사장으로 삼았습니다. 엉터리 제사장이죠. 그런데 정탐꾼들이 묻자 엉터리 제사장은 자기의 말로 “평안히 가라. 너희의 행하는 길은 여호와 앞에 있느니라.”라고 대답합니다. 이런 엉터리 말을 듣고 정탐꾼들은 라이스로 가죠. 자기들의 눈에 보이는 대로 하죠. 판단기준이 하나님과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7= “이에 다섯 사람이 떠나 라이스에 이르러 거기 있는 백성을 본즉 염려없이 거하여 시돈 사람같이 한가하고 평안하니 그 땅에는 권세잡은 자가 없어서 무슨 일에든지 괴롭게 함이 없고 시돈사람과 상거가 멀며 아무 사람과도 상종하지 아니함이라.”
아무리 인간적으로 환경이 좋아보여도 하나님을 섬기지 않는 곳이면 재고를 해야죠. 롯이 소돔고모라로 가서 잘되었습니까? 나오미의 가정이 모압으로 가서 잘되었습니까? 아니죠. 잘되지 않았습니다.
3> 이들의 신앙관이 잘못되었습니다.
17= “땅을 탐지하러 갔던 다섯 사람이 그리로 들어가서 새긴 신상과 에봇과 드라빔과 부어 만든 신상을 취할 때에”
18= “그 다섯 사람이 미가의 집에 들어가서 그 새긴 신상과 에봇과 드라빔과 부어 만든 신상을 취하여 내매”
19= “그들이 그에게 이르되 잠잠하라. 네 손을 입에 대라. 우리와 함께 가서 우리의 아비와 제사장이 되라. 네가 한 사람의 집의 제사장이 되는 것과 이스라엘 한 지파, 한 가족의 제사장이 되는 것이 어느 것이 낫겠느냐”
20= “제사장이 마음에 기뻐하여 에봇과 드라빔과 새긴 우상을 취하고 그 백성 중으로 들어 가니라.”
에봇, 드라빔, 우상 신상을 가지면 만사형통이라고 생각하는데 이것이 잘못이죠. 그리고 엉터리 제사장을 보세요. 야비하고, 비겁하고, 의리가 없습니다. 좋은 조건을 보자 한 순간에 주인을 배신하죠.
30= “단 자손이 자기를 위하여 그 새긴 신상을 세웠고, 모세의 손자 게르손의 아들 요나단과 그 자손은 단 지파의 제사장이 되어 이 백성이 사로잡히는 날까지 이르렀더라.”
31= “하나님의 집이 실로에 있을 동안에 미가의 지은바 새긴 신상이 단 자손에게 있었더라.”
이것은 잘못이죠. 하나님을 섬겨야지 신상을 섬기면 되겠어요? 미가가 만든 신상이 한 가정에 나쁜 영향을 끼쳤고, 단지파가 그것을 섬기자 지파전체에 영향을 미쳤죠. 그 결과가 무엇일까요? 계7장을 보면 천국의 인 맞은 사람들의 숫자에 단 지파는 빠져있습니다. 단 지파는 증발해 버리고 말았습니다. 이스라엘의 역사에서 증발했는데요.
어떤 분은 단 지파가 한국으로 넘어와서 단군신화를 만들고, 한국 사람들의 조상이 되었다고 하는데요. 맞는 말은 아니고, 또 좋은 일도 아니죠. 우리가 하나님 앞에서 잘못하면 결과는 안 좋은 열매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살전5:22= “악은 모든 모양이라도 버리라.”
악을 행하면서 좋은 것을 기대하는 것은 어리석은 행동이죠. 하나님 앞에서 믿음으로 살아야 복을 받고, 평안한 삶을 누리게 되는 것입니다.
옛날에 어느 어진 왕이 민정시찰을 나갔답니다. 그때 한 가난한 여인이 왕 앞에 달려와 무릎을 꿇고 “잠든 사이에 도둑이 들어와 물건을 훔쳐갔습니다.” 그러며 도둑을 잡아달라고 요청하였습니다. 그러자 왕이 “물건을 생각하면 잠들지 말았어야지. 어찌 잠들었는가?”하고 왕이 여인을 꾸짖었답니다. 그러자 여인은 “저는 폐하를 믿고, 잠들었습니다. 폐하가 늘 깨어 있어서 백성을 잘 보살펴주시리라 믿었기 때문이죠.”라고 하였습니다. 이 말을 들은 왕은 자기를 그렇게 믿는 여인에게 큰상을 내렸다고 하는데요.
여러분, 믿음이라는 것은 맡기는 것입니다. 그리고 참 평안은 믿음에서 오는 것입니다. 하나님께 맡기고, 깊이 잠들 수 있는 사람의 삶은 행복한 삶인 것입니다. 오늘도 하나님을 믿고, 행복한 삶을 사시는 성도님들이 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