삿5:1-9
삿5장은 전쟁에서 승리한 다음에 드보라와 바락이 승리의 노래를 부르고 있는데요. 이들은 무엇을 강조하고, 무엇을 높이고 있습니까?
1> 하나님을 높이고 있습니다.
2= “여호와를 찬송하라.”
3= “너희 왕들아 들으라. 방백들아 귀를 기울이라. 나 곧 내가 여호와를 노래할 것이요,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를 찬송하리로다.”
2-5절을 보면 하나님을 높이고 있죠. “하나님”, “여호와”를 8번이나 언급합니다.
“이스라엘의 두령이 그를 영솔하였고, 백성이 즐거이 헌신하였으니 여호와를 찬송하라. 너희 왕들아 들으라. 방백들아 귀를 기울이라. 나 곧 내가 여호와를 노래할 것이요,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를 찬송하리로다. 여호와여 주께서 세일에서부터 나오시고, 에돔 들에서부터 진행하실 때에 땅이 진동하고 하늘도 새어서 구름이 물을 내렸나이다. 산들이 여호와 앞에서 진동하니 저 시내산도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 앞에서 진동하였도다.”
자기들의 공로를 말하지 않고, 하나님께서 함께하셔서 승리했다고 합니다. 이것이 신앙인의 바른 자세죠.
2> 백성들의 헌신을 칭찬합니다.
2= “이스라엘의 두령이 그를 영솔하였고, 백성이 즐거이 헌신하였으니”
9= “내 마음이 이스라엘의 방백을 사모함은 그들이 백성 중에서 즐거이 헌신하였음이라.”
지도자들과 백성들이 한 마음으로 나라를 위하여 헌신하여 싸웠습니다. 여기서 우리가 알아야 하는 것은 하나님을 믿는 믿음이 있어야 하지만 전쟁을 위하여, 나라를 구하는 일을 위하여 헌신하고, 협력하고 땀을 흘리는 노력도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믿습니다.”만 하고 협력을 안 하면 안 되는 겁니다. 신앙생활을 하면서 하늘의 원리만 내세우고, 땅의 원리를 무시하면 안 된다는 거죠. 믿음은 세상의 일을 무시하는 것이 아닙니다.
밤하늘을 관찰하는 한 천문학도가 별만 보고 걷다가 웅덩이에 빠졌답니다. 그러자 “살려 달라!”고 소리를 질렀는데요. 마침 옆을 지나가던 한 지인이 건져주면서 “이 사람아, 하늘만 알려고 하지 말고, 땅도 좀 알려고 노력하게.”라고 했다는데요. 그렇죠. 우리는 신앙생활을 하면서 교회를 위해 헌신을 해야 하지만 가정도 잘 돌보고, 직장 일도 충실히 하면서 하늘의 소망을 가지고 살아야 하는 것입니다.
3> 하나님께서 하신 일을 전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이 전쟁에서 승리한 것은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도우심 때문이었습니다. 사실상 모든 일의 승패는 하나님께 달려있는 거죠.
10= “흰 나귀를 탄 자들, 귀한 화문석에 앉은 자들, 길에 행하는 자들아 선파할찌어다.”
11= “활쏘는 자의 지꺼림에서, 멀리 떨어진 물 긷는 곳에서도 여호와의 의로우신 일을 칭술하라. 그의 이스라엘을 다스리시는 의로우신 일을 칭술하라.”
하나님께서 하신 일을 자랑하라는 겁니다. 하나님의 역사를 만방에 전하라는 말씀이죠. 은혜를 받았으면 감사하고, 전해야 하는 겁니다.
4> 메로스가 저주받은 이유를 말씀하고 있습니다.
전쟁에 협력한 지파들은 칭찬하고 있는데요. 한편 협력하지 않은 거민들은 저주하고 있습니다.
23= “여호와의 사자의 말씀에 메로스를 저주하라. 너희가 거듭 거듭 그 거민을 저주할 것은 그들이 와서 여호와를 돕지 아니하며 여호와를 도와 용사를 치지 아니함이니라 하시도다.”
메로스가 왜 저주를 받게 되었습니까? 그들이 여호와를 돕지 않고, 용사를 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스라엘을 위해 전쟁에 나가지 않았다는 말이죠. 이 말씀은 어려움을 당한 사람을 못 본체하면 안 된다는 말씀입니다.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도우면 축복이 있지만 보고도 못 본체하면 저주를 받는다는 것입니다.
사마리아 사람의 비유를 알죠. 예수님께 칭찬을 받는 사람은 누구죠? 유대인들이 무시하는 사마리아인이었습니다. 본장에 나오는 메로스는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돕지 않았습니다. 희생도, 헌신도, 손해도 안 보려고 그랬겠죠. 그러면 자기는 잘 살줄 알았겠죠. 그러나 그렇습니까? 먼저 망하게 되죠.
아프리카 정글을 탐험한 학자들이 그곳에서 재미나는 실험을 해보았습니다. 여러 짐승들을 하나씩 없애보기로 했는데요. 먼저 새를 없애 보았답니다. 그랬더니 새소리가 없는 정글은 마치 공동묘지처럼 적막한 숲이 되어버렸습니다. 그 다음에는 원숭이들을 쫓아내었답니다. 원숭이들은 나뭇가지를 옮겨 다니면서 가지를 꺾고, 숲을 망가뜨리는 것으로만 알았는데 원숭이들이 떠난 숲은 나무들이 서로 엉키고, 덮이면서 썩어 들어가기 시작했습니다. 다음에는 징그러운 뱀들을 제거해보았는데요. 그랬더니 천적이 사라지자 쥐들이 날뛰기 시작했고, 쥐들이 해충을 없애는 벌레들을 다 잡아먹으므로 숲이 병들어 죽어가는 것입니다.
이 실험을 통해 학자들이 깨달은 것이 무엇일까요? 하나님께서 만드신 자연은 모든 것이 공존할 때 건강하고, 질서가 잡힌다는 사실입니다. 서로 협력하므로 공존하게 하셨다는 것입니다. 세상을 사는 모든 사람들이 똑같다면 세상에 숨이 막혀서 살겠습니까? 다 성질이 급하든지, 다 느려 터졌다든지, 그러면 살 수가 없을 것입니다.
엑셀레이터가 있으면 브레이크도 있어야죠. 그리고 서로 돕는 자가 되어야 합니다. 혼자서는 살 수가 없는 것입니다. 서로 협력하고 살아가는 성도님들이 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